|
![]() 2000년에 개봉한 '비치'라고 하면, 내겐 대니 보일보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비치'로 남아있다. '타이타닉'으로 일약 스타덤에 오른 할리우드 젊은 배우가 탄탄하고 안정적인 '쉬운 길'이 아닌, 90년대 젊음과 자유, 그리고 반항의 총아라고 불리던 대니 보일과 굳이 손을 잡았던 영화. 스무해나 지난 기억이 확실하지는 않지만, 당시 그 영화는 별 좋은 반응을 받지 못했다. 비평도 장사도 모두가 우려했던 그대로. 그런데 디카프리오는 왜 당시, 그런 선택을 했던걸까. 역대 최대 흥행 스코어를 경신하며, 오스카까지 휩쓸었던 '타이타닉' 이후 왜 그는 영국의 실험하는 인디 감독의 작품을 골랐을까. 세상은 종종 보이는 현실이 아닌 마음 속 길을 따라걷고, 그렇게 사람을 닮아있다. "세상엔 누가 뭐라고 해도 가야하는 길이 있고, 다시 돌아가야 할 이유도 그만큼 있다." 자비에 돌란은 2017년 영화 '단지 세상 끝에서'에서 이렇게 말한 적도 있다. '비치'의 첫 장면, 어딜봐도 애송이 대학생 청년 리차드는 그 무렵 누구나 꿈꾸는 배낭 여행을 준비하며 자못 의미심장하고, 이렇게 이야기한다. "나의 이름은 리처드." 그는 어쩌면 영화의 문을 열고 자신의 길을 찾아 떠났던 걸까. 좀 유치하지만, '트래인스포틴'에서 이완 맥거리거의 대사는 '인생을 선택하라'. 영화엔 왜인지 이런 문턱의 순간들이 있고, 세상 모든 수상함은 '사람'으로 설명된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비치'는 치기어린 젊은 날의 모든 것이 담겨있는 영화다. 여행, 사랑, 도전, 모험. 그리고 그게 전부인 영화이기도 하다. 크게는 미지의 여행을 떠나며 벌어지는 모험극에 가깝지만, '성장'이라는 아마도 가장 진부할, 그리고 유치한 서사를 위해 온갖 산전수전을 감내하는 허세 가득, 중2스러운 영화이기도 하다. 애초 이이야기의 발단은 유명 관광지 태국에서 자신만의 여행을 하겠다는 리처드의 호언장담이었고, 1년 365일 태양이 작열하고 술과 마약에 젖어 현실이 휘청대는 '태국'이란 배경은 그 나이, 그 무렵, 그 치기에 제법 어울리는 장소이기도 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모험극이 눈에 보이는 하나의 '성취'를 향해 움직인다면, '비치'는 온전히 리차드의 내면, 그가 느끼고 반응하고 생각하는 몸덩이 하나에서 시작한다. 그만큼 단순하고 진실하다. 일면 '인디아나 존스'의 열차를 탄 '트레인스포팅'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리차드는 여행의 시작을 제외하면 단 한 번도 지도를 꺼내지 않는다. 줄곧 리차드의 나레이션으로 흘러가는 영화에서 이정표라면 그의 목소리가 유일하다. 리차드는 사랑을 고백하지 못할 정도로 용기도 없고, 때때로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거짓말도 하지만, 그렇게 서툴고 실패하며 자신에게 걸어간다. 대부분의 모험극이 '영웅'을 배출하는 것과 달리, 이 영화에 그런 영웅 서사는 없고, 사람의 어느 계절 속을 탐험하던 여정의 조금 아픈 진통이 남아있을 뿐이다. 사실 '비치'가 개봉할 당시 영화는 좀 시끄러웠다. 촬영장 확보를 위한 공사로 가장 아름다운 섬 중 하나로 꼽히는 섬 피피를 훼손해 소송에 휘말렸고, 점점 '치기'보다는 '스타일'로 종주하는 대니 보일에 대한 쓴소리도 심상치 않았다. 결국은 '파랑새' 서사의 변주일 뿐인데 4천 만 달러가 넘는 제작비는 좀 많이 허황되기도 했다. 하지만 영화엔 시간과 함께 더해지는 감정이 있고, 돌아봤을 때 보이는 풍경이 있고, 그렇게 새로 쓰여지는 '어제'의 스토리가 있다. 리차드는 겨우 스물을 갓 남긴 청춘이지만 그의 어설픈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서른을 훌쩍 넘긴 내게도 쉽게 지나치지 못하는 것처럼. '비치'는 우리 모두가 조금은 허세로 살았던 어느 성장통의 무렵을 돌아보게 한다. 부끄럽고 창피하지만 어김없이 나이고 너였던 시간들. 영화는 세월과 함께 다시 쓰여지는 무엇이기도 하다. '비치'는 본래 알렉스 갈란드의 동명 소설이 원작이었다. 하지만 갈란드가 소설을 쓴 건 태국이 아닌 필리핀에 거주하던 시절이었고, 그의 데뷔작인 이 작품을 닉 혼비는 'X세대의 '파리 대왕'이라 평하기도 했다. 그러니까 어떤 세대, 시절의 시작점, 혹은 출입문 그리고 트랜스포팅. 대니 보일은 리차드의 무모한 탐험을 통해 '혼자'라는 그림 곁에 인간 본성, 그리고 '비밀'로 유지되는 희미한 희망을 덕지덕지 그려내며 욕심을 부리지만, 사실 나란 사람을 나는 보지 못한다. 그래서 조금은 허황된 모험극이 되어버렸던 걸까. 영화에 흘러가는 '이 바다에서는 바다가 보이지 않아'라는 말. 어쩌면 여기에 이 영화의 모든 것이 있다. 우리가 보지 못한, 그리고 만나지 못한. 내 안에 있는 무언가. 그런 갈망. 그 시절 그들은 그곳을 보지 못했고, 나는 나의 바다를 보지 못했다. 그렇게 바다는, 바다를 갈망한다.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최근 등록된 덧글
전 무언가 다 알면서 모른 척..
by ABYSS at 03/06 저는 가족들에게 감추고 살고.. by rumic71 at 03/05 쓸모없는 쇼핑은 그래서 가끔.. by ABYSS at 03/05 최근 등록된 트랙백
포토로그
이전블로그
2021년 04월
2021년 03월 2021년 02월 2021년 01월 2020년 12월 2020년 11월 2020년 10월 2020년 09월 2020년 08월 2020년 07월 2020년 06월 2020년 05월 2020년 04월 2020년 03월 2020년 02월 2020년 01월 2019년 12월 2019년 11월 2019년 10월 2019년 09월 2019년 08월 2019년 07월 2019년 06월 2019년 05월 2019년 04월 2019년 03월 2019년 02월 2019년 01월 2018년 12월 2018년 11월 2018년 10월 2018년 09월 2018년 08월 2018년 07월 2018년 06월 2018년 05월 2018년 04월 2018년 03월 2018년 02월 2018년 01월 2017년 12월 2017년 11월 2017년 10월 2017년 09월 2017년 08월 2017년 07월 2017년 06월 2017년 05월 2017년 04월 2017년 03월 2017년 02월 2016년 09월 2014년 02월 2012년 10월 2012년 09월 2012년 07월 2012년 06월 2012년 05월 2012년 04월 2012년 03월 2012년 02월 2012년 01월 2011년 05월 2011년 03월 2011년 01월 2010년 12월 2010년 10월 2010년 08월 2010년 06월 2010년 05월 2010년 04월 2010년 03월 2010년 02월 2010년 01월 2009년 12월 2009년 11월 2009년 10월 2009년 09월 2009년 08월 2009년 07월 2009년 06월 2009년 05월 2009년 04월 2009년 03월 2009년 02월 2009년 01월 2008년 12월 2008년 11월 2008년 10월 2008년 09월 2008년 08월 2008년 07월 2008년 06월 2008년 05월 2008년 04월 2008년 03월 2008년 02월 2008년 01월 2007년 11월 이글루링크
|
|